BLOG main image
- (326)
오늘의이야기 (195)
영화&책이야기 (72)
맛있는이야기 (30)
그림이야기 (21)
쉽게쓰여진시 (8)
치앙마이이야기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1. 3. 16. 01:02



이윤기 감독 영화에 대한 기대가 있었다. <여자, 정혜> <멋진 하루> 그의 전작들이 내게 전하는 뭉근한 여운들이 있었다. 조바심 내지 않고 인물들을 따라가는 힘을 이윤기 감독은 가지고 있었다. 감독의 전작에서 느낄 수 있었던 힘이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속에 잔상처럼 남아 있었지만 말 그대로 '잔상'일뿐이라는 생각을, 극장을 나오면서 했다.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내가 가장 안타깝게 느낀 부분은 배우들 이었다. 임수정과 현빈이라는 화려한 캐스팅은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높였지만 극장을 나오면서 나는 '만약에'라고 먼저 가정하게 되었다. 만약에 두 주인공이 현빈과 임수정이 아니었더라면. 카메라는 묵묵히 영화 속 주인공을 지켜보고 있었지만, 임수정과 현빈의 연기덕에 스크린 속엔 헤어지기로 결심한 두 남녀의 감정이 스며들지 않았다.

그리고 나는 또 하나의 '만약에'라는 가정을 하였다. 만약에 두 주인공이 그렇게 잘 사는 편이 아니었더라면. 반듯한 세간살이가 갖춰진 집은 그/녀들의 감정을 공감할 수 없게 하는 방해 요소로 작용하였다. '아니 저 두 사람은 도대체 어떤 일을 하고, 얼마나 돈을 벌길래 저 연령대에 저런 집을 소유하고, 파스타 면 삶는 냄비와 같은 익숙지 않은 세간살이를 갖추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일까? 태생적으로 잘 사는 집 애들 일 것이야. 자수성가해서 저렇게 산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야.'라는 생각이 영화를 보는 내내 머릿속에 동동 떠다녔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영화 이야기를 해보자. 결혼 5년 차 부부, 외국으로 출장가는 여자를 공항으로 데려다 주는 길, 갑자기 여자가 말한다. "나 자기랑 그만 살래." 그말을 들은 남자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몇마디 이야기를 주고 받지만 남자는 화를 내지도, 이유를 묻지도 않는다. 그리고 며칠이 지났을까? 여자는 함께 살던 집을 나오기 위해 짐을 정리하고 남자는 말없이 여자가 아끼던 그릇들을 정성스레 싸준다. 함께 살아온 시간에 비례하여 꼭 거창한 이별절차를 밟을 필요는 없겠지만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의 두 주인공은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정적이다. 누군가는 영화 속 장면이 차 안에서 여자가 이별을 통보한 후 며칠이 지난 시점이니 표현되지 않은 며칠의 시간 속에 두 남녀는 충분히 격정적 감정을 표출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가정한다고 하더라도 나는 두 사람을 이해할 수 없다.

감독은 갇힌 공간 속의 두 사람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영화 속 두 남녀의 감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윤기 감독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위의 이유에 대해 '왜'라고 묻는 것이 무의미하기도 하지만, 나는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두 사람을 보며 계속 왜, 왜, 왜!라고 묻게 된다. 이는 필연 영화를 보면서 아주 작은 마음의 요동도 일지 않은 것에 대한 원망인듯하다.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를 보면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를 보고 <멋진 하루>를 다시 보았다. <멋진 하루>또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멋진 하루>가 보여주는 공간과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가 보여주는 공간은 어떻게 다를까? <멋진하루>가 보여주는 공간은 누구나 한번즘 스쳐 지나갔을 법한 열린 공간이다. 익숙한 서울 풍경, 익숙하기에 지나치고 갈법한 골목과 도로를 카메라는 상투적이지 않게 바라보고 있었다. 그에 비해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의 공간은 '누군가만의' 닫힌 공간이다. 서울의 외곽, 출판단지에 위치한 두 사람의 빌라 내부만을 영화는 담는다. 그리고 감독은 그 공간을 온전히 보여주지 않고 조각조각 잘라 보여준다. 영화는 카메라 프레임이라는 갇힌 공간 속에 다시 벽과 가구로 공간을 나누고 그 안에 인물을 가둬둔다. 남자의 공간은 지하 1층 작업실이고, 2층은 남자와 여자의 공통 공간이고, 그 다음 층 서재는 여자의 공간이다. 두 남녀는 집이라는 하나의 전체 공간 안에 머물고 있지만 그들 각자의 공간에서 시간을 보낼 뿐 두 사람이 동일한 공간에 그것도 동시에 함께 오래 머물지 않는다. 그렇게 공간도 감정도 잘려진 그/녀들의 시간 속엔 계속 비가 내리고 영화는 잊을만하면 한번씩 햇빛이 가득한 온전한 공간을 보여준다. 한때 남자가 여자에게 만들어 주었던 강아지 인형이 놓여 있는 지하 작업실,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밥을 먹거나 티비를 보며 킥킥 웃었을 거실, 함께 요리 책을 보며 머리를 맞대고 있었을 서재를 영화는 인물을 배제시키고 보여준다. 한번씩 갑자기 등장하는 '햇빛 가득한 온전한 공간'은 '우리도 한때는 서로가 전부이고, 애틋한 시간이 있었지.'라고 말하는 것 같다. 

공간을 잘게 나누어 그 안에 인물을 가둬두고, 온전한 공간에선 인물을 배제시킨 감독은 영화의 막바지에 두 사람을 부엌이라는 같은 공간에 둔다. 남자의 후라이팬을 여자가 이어 받고, 후라이팬을 내준 남자는 자연스럽게 양파를 썬다. 지인은 이 장면을 보고 관계의 권태를 느끼고 결국 이혼을 결정한 부부가 지난 날의 익숨함으로 손발을 맞춰 척척 요리하는 장면이 찡하다고 하였다. 영화를 보기 전 이 장면에 대한 지인의 이야기를 듣고, 장면을 상상하니 나도 찡하였다. 하지만 영화를 직접 보고 극장을 나왔을 땐 '세팅된 욕망'만이 보여 지인이 전해준 감흥을 느낄 수 없었다. 나도 가끔 애인과 파스타를 만들어 먹는다. 나는 파스타 면을 전용으로 담아 두는 유리 용기에서 면을 꺼내는 것이 아니라 페트병 주둥이 부분을 잘라 파스타 봉지를 그 안에 그대로 담아 두고, 파스타면을 끓이는 전용 냄비에 면을 삶는 것이 아나라 노란색 양은 냄비에 면을 삶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에 면을 볶는 것이 아니라 국산 포도씨유에 면을 볶는다. 잘갖춰진 집에서 그럴듯한 세간살이를 두고 그 안에서 한 번즘 사랑을 나눠고픈 뭇 사람들의 '세팅된 욕망'을 영화는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누구나 한번즘 그렇게 살아보고 싶은 욕망이 완벽하게 세팅된 공간에서 현실로 그려진 장면을 보고 있으려니 조금은 당황스러웠다. 진짜같지 않을 것을 진짜라고 말하는 것같아서 공감을 하지 못했다.  

그래서 그런 것일까? 마지막 장면에서 여자가 집에 불쑥 들어온 어린 고양이를 보며 "괜찮아. 괜찮아질거야."라고 하는 말이 허망하게 느껴졌다. 

P.S_아래 박스에 담긴 영화 리뷰는 민우회 소모임 '작심삼일'의 '수풀'이 쓴 글이다.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에 대한 '수풀'의 글이 좋아 담아 왔다.

 자체발광의 현빈과 임수정이 나오는 것 만으로도 스크린이 흐뭇했던 영화,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를 신도림 CGV에서 같이 보았지요. 개봉 당일 이었던지라 사람이 꽤 붐볐습니다. 현빈이 나왔던 "만추"를 꽤 만족하며 봤던터라 이번 영화도 기대가 되었습니다. 다른 작삼 멤버들도 그랬던것 같구요. <여자, 정혜>, <멋진 하루>를 만든 감독의 전작들처럼 영화는 뭐랄까~ 대중성과는 조금 거리는 있었어요. 영화관의 관객들 중엔 보다가 나가는 관객도 있었고 따땃하니 나른해져서 잠을 청하는 관객도 있었어요.

5년차 부부가 이혼을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보내는 하루에 대한 영화였는데 고통스러울 정도의 침묵과 권태가 영화 내내 흐릅니다. 그 고통스러움 자체가 둘 사이의 불편함 그 자체를 표현한거겠죠. 하지만 권태로움에 이혼하는 부부가 암 말없이 손발 척척 맞춰가며 마지막 요리를 하는 장면은 맘이 좀 찡하더군요.

어쩌면 현빈과 임수정은 상대방을 사랑하지만 상대방은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건 아닐까 생각했어요. 그래서 영화 제목도 (나는) 사랑한다 (너는) 사랑하지 않는다..인건 아닐지...엇갈린 두 사람의 마음이 영화에선 나오지 않는 마지막 밤을 통해 확인되었으면 참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