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 (326)
오늘의이야기 (195)
영화&책이야기 (72)
맛있는이야기 (30)
그림이야기 (21)
쉽게쓰여진시 (8)
치앙마이이야기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3. 3. 23. 21:38

<함께가는 여성> 213호가 나왔어요. 계간지로 바뀌고 2013년 봄, 세상에 인사하는 <함께가는 여성>에 오랜만에 글을 썼어요. :D




노년들의 영화에서, 든든하게 나이 들 수 있는 길을 찾다!

이소희(바람) /  여는 민우회 여성노동팀 



노년에 관한 영화를 보았다. 제목은 <아무르>, <내일을 위한 길>이다. <아무르>는 프랑스 영화다. 음악교사였던 노년의 부부 안느와 조르주는 음악회를 다니며 평화롭게 일상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작스럽게 찾아온 안느의 병은 그들의 일상을 뒤흔든다. <내일을 위한 길>은 1937년 미국 영화다. 은퇴 후 다정하게 지내오던 노년의 부부 바크와 루시는 부채로 인해 그들의 집이 저당 잡히자 어쩔 수 없이 자녀들의 집에서 흩어져 지내게 된다. 자식들은 부모의 존재가 불편하다. 


<아무르>를 보며 엄마의 나이 듦이 오버랩 되다

영화의 잔상이 쉬이 떨쳐지지 않았다. 영화 속 인물들이 내 곁에 계속 머물렀다. 왜일까? 내가 나이 든다는 것, 가족이 나이를 먹고 늙는다는 것이 피할 수 없는 과정이기에 영화 속 그들의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 같지 않았다. <아무르>를 보면서 엄마 생각이 났다. 엄마가 아팠다. 평생 사용한 근육을 단 한 번도 제대로 풀어주지 못한 채 계속 사용하다보니 결국 탈이 났다. 엄마는 오른손이 고장나버려 일상생활을 할 수 없었다. 혼자서 옷을 입고 벗을 수 없었고, 왼손으로 어설프게 밥을 뜨고 힘들게 찬을 집었다. 엄마대신 가사 일을 하고, 엄마의 거동을 도우면서 속상했다. 그리고 짜증이 치고 올라오기도 했다. 이 짜증은 무엇일까? 오른손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만 그동안 지켜왔던 습관을 유지하고 싶기에 억지로 손을 움직여 본다. 몸은 마음과 달리 움직인다. 내 곁에 있는 이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으로 나를 대한다면, 그이가 가지고 있던 기존의 성질을 잃어가는 모습을 보면 받아들이기 어렵다. 치고 올라오는 짜증은 감당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 대한 감정의 또 다른 표현 방식일까? 


<내일을 위한 길>에서 ‘타인의 친절’이 의미하는 것

영화 <내일을 위한 길>은 가족 안에서 느끼는 노년의 쓸쓸함이 고스란히 담긴 영화다. 나이든 부부는 빠르게 움직이는 자식들의 시간을 따라갈 수 없다. 같은 시공간에 존재하지만 그들의 시계는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함께 있어도 함께 있는 것이 아니다. 노부부의 느려진 사고와 나약해진 몸은 자식들에겐 불편하고 귀찮은 무언가가 되어버렸다.  자식들과 소통하고 공감하고 싶지만 그들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시간의 강이 흐른다. 이러한 시간의 강을 ‘세대차이’, ‘갭’이라고 쉽게 말할 수 있을까? ‘세대차이’라고 말하는 것도 어느 정도 힘이 있을 때 웃으며 할 수 있는 말이지 않을까? 나이가 들면 존재가 투명해지는 것 같다. <내일을 위한 길>의 노부부는 자식들의 공간에서 화분처럼 지낸다. 가족 안에서 쓸쓸한 노부부에게 친절을 베푸는 이들은 ‘타인’이다. 뉴욕에서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여행을 보내던 바크와 루시에게 자동차 판매자는 자동차를 ‘파는’ 것에 목적을 두지 않고 도시 드라이브를 시켜주고, 빠른 음악을 지휘하던 연회장의 지휘자는 그들을 위해 느린 템포의 음악을 연주한다. 


‘타인의 친절’을 통해 <내일을 위한 길>의 레오 맥캐리 감독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나이 든다. 늙는다.’ 회피할 수도, 정지할 수도 없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는 노인이 존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고민했을 것이다. 젊은 자식들은 제 살기에 바쁘다. 노인에게 가족은 쓸쓸한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이라는 범주에 국한되지 않은 관계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것을  영화는 말하고 싶은 듯하다. <내일을 위한 길>은 ‘노인을 공경하라!’라는 텍스트로 시작된다. 교과서적이고 고리타분한 말이지만 영화를 보고 극장에 나올 때 이 말이 예사롭지 않게 느껴졌다. ‘젊은 사람과 늙은 사람 중에 누가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각주:1], ‘두 존재의 공존이 가능한, 즉 사회적 관계성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라고 물었을 때 영화 시작의 텍스트가 의미로 다가왔다. 그 텍스트는 관계의 윤리성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든든하게 나이 들기 위하여

<아무르>를 보면서 나의 노후에 대해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오랜 시간 교직생활을 했기 에 노후의 삶이 보장되었던 안느와 조르주와 달리 나의 노후는 연금도 녹록하지 않을 것이고, 그렇다고 사(私)보험을 들 형편도 안 되는데 나의 노후는 어떻게 될까 불안했다. 지인은 본인이 나이 들면 폐지 줍는 할머니로 살아갈 것 같다는 말을 했다. 그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 같지 않았다. 집이 저당 잡혀 갈 곳이 없는 <내일을 위한 길>의 바크와 루시가 ‘젊을 때 저축하라.’는 거리의 간판을 보며 씁쓸하게 지나치는 모습이 나의 미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모든 것이 불안한 시대를 살고 있는 나는 늙어서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을까? 그래서 사회경제적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아무르>를 보며 느낀 불안감을 <내일을 위한 길>을 보며 다독이려고 했다. 


“가족 안에서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없어. 사회적 관계성을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해!” 나도 언젠가 나이가 들 것이고 흐릿해질 것이다. 나이가 들고 흐려진다고 하여 존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존재에 대한 인식과 관계의 연대를 끊임없이 모색하고 싶다. 노인의 경험이 세대의 강 때문에 단절되지 않도록 징검다리의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 특히 할머니의 경험이 전수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 일본의 시바타 도요 할머니는 아흔이 넘어 쓰기 시작한 시를 모아 아흔 여덟 살에 <약해지지 마>라는 시집을 세상에 내 놓았다. 할머니는 지금 이곳에 없지만 할머니의 삶은 할머니의 시집을 통해 공유되고 있다. ‘할머니 시(詩) 교실을 열고, 할머니들의 시(詩)를 모아 시집 한권을 내놓으면 어떨까?’ 든든한 나의 노후를 위해서라도 더불어 살아가는 할머니의 커뮤니티는 곳곳에 많이 존재해야 한다.


貯金 (저금)

私ね 人から 나 말야, 사람들이

やさしさを貰ったら 친절하게 대해주면

心に貯金をしておくの 마음속에 저금해 두고 있어


さびしくなった時は 외롭다고 느낄 때

それを引き出して 그걸 꺼내

元気になる 힘을 내는 거야


あなたも 今から 당신도 지금부터

積んでおきなさい 저금해봐

年金より 연금보다

いいわよ 나을 테니까


- 시바타 도요 시집 <약해지지 마>

  1. 나이 권력으로 젊은 사람을 뭉개는 늙은 가부장을 많이 보았기에, 늙음과 젊음의 힘의 관계를 일반화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늙음과 젊음에 있어 ‘우리 사회에서 어떤 존재가 소수자인가?’라고 질문을 하고 싶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