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 (326)
오늘의이야기 (195)
영화&책이야기 (72)
맛있는이야기 (30)
그림이야기 (21)
쉽게쓰여진시 (8)
치앙마이이야기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8. 10. 28. 01:50




가난한 활동가에게 당신의 삶의 낙은 무엇이요? 묻는다면 월요일아침 출근길 교통수단을 기다리며 지갑에서 단돈 천원을 꺼내고 주간지를 맞바꿀때, 매혹적 배우가 표지로 등장하는 영화잡지를 펼쳐드는 순간이라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주 필름2.0은 내가 지독히도 싫어하는 007시리즈가 표지를 장식하고 기획기사로 실렸지만 그래도 나를 유혹하는 페이지가 있었으니-"매혹적 장면 10개의 숨겨진 이야기"

영화의 역사는 곧 명장면의 역사이기도 하다. 기억은 영화의 제목을 망각할지언정 특정영화의 결정적인 장면은 신기하게도 머릿속에 보존해 놓는다. 그런 결정적 장면은 특출 난 이미지만큼이나 수많은 뒷이야기들을 남긴다.

이 기사에 모티브를 얻어 오늘은 "매혹적인 장면 1개의 숨겨진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얼마전 영화 멋진하루를 보았다. 영화 멋진하루의 미덕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일상의 공간이 프레임 속에 담긴 것일것이다. 요즘의 영화들(영화에 대해 이렇다 저랗다 말하기 부끄럽지만) 프레임속에 가꾸고 다듬어진 공간을 담는 것이 익숙하다면 멋진하루에 등장한 공간은 내가 오늘도 걷는 길이 바로 배경이 되어 등장한다.

영화 속,
희수와 병운이 서울의 익숙한 거리를 배회하다 한때 그들도 좋았던 시절 자주 다니던 음식점을 찾아간다. 하지만 가게는 문을 닫고 그들은 목적지 없이 그곳을 벗어난다.  허탈해하며 빠져나오던 골목. 그 골목길이 익숙다.


서울역사박물관, 내일신문사 뒷길에는 촘촘히 골목이 형성되어있다. 골목골목마다 길을 제외하고는 밥집으로 틈틈이 채워져있는 공간. 아침 그 골목길을 걷다보면 밥집대문에는 온갖가지 채소가 박스채로 쌓여있고, 지난 밤 밥냄새가 고스란히 베여 아침공기와 묘하게 섞여있는 곳이다. 그 골목을 병운과 희수가 나란히 걷더라.

맛있는 밥집이 있어 그 골목이 매력적이더라 말하는 것과 더불어 그 골목의 매력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결정적 장면이  있다. 얽히고 섥힌 골목길에서 미지의 낯선 곳으로 향하는 느낌이 드는 지점이 있다. 열림과 닫힘이 공존하는 시점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느낌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단은 서대문역 3번출구로 나와 강북 삼성병원으로 향한다. 3번출구에서 직진, 그러다 등장하는 자그마한 언덕길. 그 언덕길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왼쪽으로 강북삼성병원이 오른쪽으로 몇개의 약국과 자그마한 가게가 있고 촘촘히 밥집이 들어앉아 있는 공간으로의 통로가 2-3개가 있을 것이다. 이 세 통로중 어느곳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그렇게 골목을 헤매이다 보면 정성스레 커피를 드립해주는, 커피와 쟁이가 있고
깔끔하고 맛나는 밥집 봄샘이 있을 터이고
콩비지집, 돈까스집, 칼국수집, 삼계탕집 등등을 접할 것이다.

밥때 가면 봄샘에서 밥한끼를.

그렇게 밥냄새 진한 골목을 돌다 순간 걸음이 멈춰서는 공간이 바로 영화속에서 희수와 병운이 걷는 길이다. 경계가 지어져있고 닫힌 공간인 골목길을 걷다 어느 특정 지점에서 그 길이 열려있음을, 그 골목길 일직선으로 대로 너머 저곳에 정동길이 쭈욱 뻗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다. 골목의 끝에서 정동'길'의 시작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 공간에 설때의 묘함. 그 묘함을 느끼기 위해 오늘 괜시리 그 골목안을 헤매이다(이젠 헤매이지 않는다. 어느 곳에 어떤 밥집이 박혀있는지도 안다.) 그 지점, 그 시점에 멈춰선다.

그리고 다시 한번 영화가 보고 싶다. 그렇게 멋진하루는 불쑥 내 삶의 공간을 끄집어 내고 불쑥 지난날의 기억을 부른다. 희수가 병운과 찾은 이태원 어느 건물의 옥상. 희수는 한 장면을 목격한다. 그 장면을 목격하는 희수에게 아련함이 묻어난다. 먼곳을 향해 응시하는 여자에게 남자가 다가와 말을 건다. 그리고 영화 후반부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는 희수에게 병운이 다가와 말은 건낸다. 그렇게 우리는 오늘, 불쑥 어제를 마주하게 된다. 그때 또 한 번 묘하다.
나는.
아마도 희수도. 



2008.10.28.화
2008. 10. 26. 22:15

"모든것이 낯설다."

 

내가 살고 있는 곳에서 지하철을 한번 갈아타고 한시간 반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그곳에 들어 섰을 때 낯선기운들이 차갑게 내 뺨에 스며들었고 짧은 티셔츠 아래 팔에선 오스스 소름이 돋았다. 여긴 분명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땅인데 나는 이방인이 되어 그 거리에 서있었다. 파랗게 낯선 공포에 질린 나와 눈앞의 붉은 풍경은 부딪치고 또 부딪치고 있었고, 높낮이와 강약이 뚜렷한 중국어가 고막에서 쨍그렁 부서져 내렸다.

 


 
부두가의 노동자는 고단했는지 뻘이 묻어있는 바지 저고리를 무릎까지 걷어 올리고 지게에 기대어 잠들어 있다. 아이들은 시커먼 얼굴에, 얼룩이 짓눌려 문양이 되어 버린 옷을 입고 무리지어 떠들며 소란스럽다.

 


"총을 든 군대가 들어온다
 칼을 든 군대가 뒷걸음 친다
 쌀이 아니라 겨를 먹으라네
 밥이 아니라 모래를 먹으라네"

 


1884년 아이들은 포구에서 하루종일 이 노래를 부른다. 굶주린 뱃속 남아있는 소리를 쥐어짜내며 노래를 부른다. 난리 속에 왕의 아비를 납치해간 북쪽 오랑캐는 초가집이 오밀조밀 모여있는 포구에 집을 짓기 시작한다. 제물포조약으로 남쪽 왜놈들은 조선땅에 군인을 들인다. 땅따먹기를 하듯 인천 앞바다의 작은 마을엔 지계가 들어선다. 일본, 청, 미국, 영국, 독일은 선을 긋고 니땅 내땅 분주하다. 물빛에 검게 그을린 하역노동자의 짧고 굵은 다리는 더욱 바빠졌고, 둥근 초가지붕 사이로 모난 유럽식의 석조 건축물이 머쓱허니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열명중 한 사람은 청국인 또는 일본인이다.

 

 

거리에서는 드문드문 아주 희미하게 향냄새가 났다. 패루를 지나고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해서 부딪치는 붉은색이 혼란스러워 작은 골목으로 들어섰을 때 한결 공기의 색깔이 편안해졌다. 오래된 건물의 빛바랜 나무간판엔 共和春이라는 노란색의 글씨가 쓰여있었다.

 


부두가의 노동자들은 뻘이 묻어있는 옷을 입고 아무렇지않게 부두가 어느 공터에 앉아있다. 점심때가 한참 지났을까_둥그렇게 앉아있던 몇몇 노동자들은 검은면의 음식을 젓가락으로 둘둘 말아 한입 가득히 밀어넣는다. 부두가 노동자의 고픈 배를 채우기 위해 만들어진 지금의 자장면. 共和春에서는 춘장에 비빈 면국수를 자장면이라는 이름을 붙여 판다. 2층의 서양식 건물_까만 바탕에 황금색 한자로 쓰여진 간판은 화려하다. 축음기를 통해 음악이 끊이지 않는다.

 


共和春건물 앞에 섰을때, 지금은 건물의 외곽만 남은 빈 건물안에서 낡은 축음기를 통해 19세기말 유행했던 가요가 들리는 듯 했다. 21세기라는 시공간에 살고 있는 내가 19세기의 그 혹은 그녀의 흔적에 귀기울인다. 골목을 따라 쭉 걷다보니 자그마한 언덕이 하나보였다. 공자상이 인천앞바다를 바라보고 있던 언덕, 그 언덕을 경계로 언덕의 왼쪽은 청국조계 언덕의 오른쪽은 일본조계였다. 언덕의 맨꼭대기 또 길 하나가 맞닿아있다. 고전중의 고전 삼국지의 방대한 분량을 골목의 긴 벽에 벽화로 그려놓고 그에따른 설명이 쓰여있었다. 중학교때 읽었던 삼국지.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만 기억나는 삼국지.


그 골목을 걷다 한 여인을 만났다. 자그마한 체구의 여성, 안경을 쓰고 머리는 잔머리 하나 흘러내리지 않게 단단히 묵었다. 팔은 왜 다친걸까? 왼쪽 팔에 깁스를 하고 있던 그녀. 그녀의 손에는 뚜껑이 덮여있는 밥공기 하나가 들려 있었다.

 


-냉커피에요. 제가 직접 탄 냉커피 아주 달고 맛있어요. 1000원에 사세요.

 

-네?

 


난 아무말을 하지 못했다. 어떻게 해야할지. 냉커피를 천원에 사고 그녀 앞에서 냉커피를 꿀꺽 마셔야하는걸까? 아니면 그냥 모르는척 지나가야할까? 그녀는 내 눈을 뚫어지게 바라보았다. 12초정도 망설이다가 나는 그녀에게 말했다.

 


-그럼 제가 커피를 마신걸로 하고 천원을 드릴게요.

 


말이없다. 그녀는 역시 내 눈을 뚫어지게 바라보았다. 하지만 이번엔 그녀의 입가의 미소는 사라지고 없었다. 일자로 굳게 다문 입술. 그리고 그녀의 작은 하얀이가 그녀의 붉은 입술을 세게 깨물고 있었다.

 


-아니예요. 다른분에게 팔겠어요.

 


되돌아서는 그녀의 뒷모습. 알량한 나의 양심은 그녀의 마음을 다치게 했다. 가면을 쓰고 있는 나의 선은 날카로운 칼을 들고 그녀의 가슴에 생채기를 만들었다. 동정과 동행. 누군가를 진정으로 생각하고, 진정으로 누군가를 가슴에 안을 때에는 값싼 동정이 아닌 말없이 빗속을 함께 걸아야한다는 것을 나는 잊고 있었다. 한참동안 그녀의 뒷모습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가방 속 지갑을 꼬옥 쥐고 있던 내 손은 어찌할 바를 몰라 손에서 힘을 거두지 못하고 얼어 있었다.

 


그렇게 그녀의 뒷모습을 지켜보다 나는 그녀가 걷던 길의 반대방향으로 걷고 또 걸었다. 위안을 찾기 위해 떠났던 길 위에서 나는 바닥을 보인 나에게 어떤 위로도 할 수 없었다.

 

 

 


정월 대보름, 차가운 공기가 얼굴 위로 스친다. 그럴때 마다 바싹 얼어버린 나의 혈관은 파란하늘을 향해 손길을 내뻗었다가 그 뻗음 그대로 얼어버린다. 창백한 피부위로 빨갛게 파랗게 나의 혈관들이 손을 뻗은채 얼어있다. 정월대보름을 원소절. 중국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 이곳에 남아있는 화교세대들은 아직도 고유의 풍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거리거리마다 불을 밝히고 있는 붉은 등의 불빛이 얼어 있는 나의 혈관을 따뜻하게 달랜다. 주홍빛을 토해내는 등에 언 손을 뻗어 녹인다.

 


하늘의 새가 길을 잃고 인간세상에서 헤매고 있을때 새는 이름 모를 사냥꾼의 화살에 맞아 죽는다. 하늘의 신은 이에 노하여 정월 15일 인간세상으로 내려가 불을 질러 모든 인간들을 불태워 죽이려고 계획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신의 딸은 무고한 사람들의 죽음을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어 목숨을 걸고 인간들에게 신의 계획을 전한다. 소식을 전해 들은 사람들은 14, 15, 16일 삼일동안 집앞에 빨간등을 걸어놓고 폭죽을 터뜨리며 연기를 내뿜었다. 하늘의 신은 인간세상의 붉은 빛과 연기를 보고 이미 세상이 불타고 있는것이라 생각하고 불을 지를것을 그만둔다.

 


이천년전의 이야기, 1957년인 지금도 그 전설이 이어져 이 낯선 땅, 중국인들이 모여 사는 이곳, 붉은 등불과  폭죽의 불빛으로 감빛 밤하늘이 화려하기만하다.

 


길을 걷다 붉은 빛깔과 용의 문양으로 장식된 가로등과 가로등 사이에 걸려있는 빛바랜 붉은 등에 시선이 멈춰졌다. 어떤 사연인지 모르지만 뭍에 힘없이 누워있는 한마리의 물고기처럼_아주 희미하게 숨을 쉬고 있는 한마리의 물고기처럼_빛바랜 붉은 등이 여름, 늦은 오후의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길을 잃은 것일까? 낯섦과 나의 본질과의 마주침의 혼란으로 어지러웠다. 어지럼증으로 담쟁이 넝쿨로 가득한 어느 계단위에 앉아있을때_누군가가 다시 내게 말을 걸어왔다.

 

-여기가 드라마 피아노 촬영지예요. 어디에서 오셨어요?

 

떨구고 있던 고개를 들었다.

 

-서울에서 왔어요.

 

-멀리서 오셨네요. 요 위에 자유공원엔 다녀오셨나요?

 

-아니요.

 

-제가 안내 좀 해드릴까요?

 

이곳에서 태어나고 지금까지 쭈욱 인천중구 선린동에 살아왔다던 중년의 한 남성. 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는 그는 종종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을 만나면 안내하는 것을 즐긴다고 하였다. 그와 함께 오른 자유공원, 전쟁으로 표현된 제국주의라는 괴물의 야욕은 거대한 맥아더 장군 동상에 습한 바다 공기와 함께 여기저기에 어려있었다. 그와 자유공원을 걷고 있을때 바다가 한눈에 보이는 광장에선 무료 에어로빅 강의가 한창이었다. 붉은 옷을 입고 붉은 모자를 쓰고 삼삼오오 모인 사람들, 연령대도 아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했던_공원은 경쾌한 리듬의 음악으로 가득찼고 사람들은 제각각의 몸동작으로 에어로빅을 즐기고 있었다. 120년전 모든 것이 닫혀 있던 땅에 새로운 문화가 들어섰던 충격도, 60년전 공포의 굉음이 가득했던 전쟁의 상흔도 잊은채, 사람들의 나른한 일상을 떨치기 위한 경쾌한 몸짓만이 그곳에 있었다.

 

광장을 가로질러 돌담을 왼쪽에 두고 그와 나란히 길을 걸었다.

 

-돌담 너머 건물이 바로 제물포 고등학교에요. 제가 졸업한 곳이죠. 그때 미팅을 하고 여기 자유공원에 많이 놀러왔었죠. 봄엔 여기도 벚꽃나무가 많아 꽃비가 내리거든요. 언제 여기 봄에도 놀러 오세요.

 

자유공원에서 내려와 제물포 구락부를 둘러보고 그의 친분으로 입장시간이 지난 역사자료실을 둘러볼 수 있었다. 여름나무에 송충이가 너무 많아 나뭇가지를 정돈하고 이를 불에 태우고 있던 그의 친구_역사자료실 작은 정원에는 마치 여름밤 모깃불을 피워놓은 듯 불에타는 풀향기가 은은하게 저녁 어둠과 함께 내려 앉아있었다.

 

일제시대 제일은행과 58은행 건물,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호텔이었던 대불호텔 터, 1897년에 건립된 유럽건축양식의 작은 답동성당_

 

침묵과 대화가 반복되었던 시간.
120년이라는 시공간을 넘나들었던 그와의 동행.

 

-이 정도면 이제 여기는 다 둘러 보신거에요. 인천에 왔으면 이제 마지막으로 월미도를 가보시면 되요. 인연이 되면 또 만납시다. 반가웠습니다.

 

짧게 인사를 건네고 돌아서는 그의 뒷모습을 나는 바라보았다. 월미도를 몇번 방문했었기에 이날 나의 일정에는 월미도는 제외되어있었다. 월미도를 꼭 가보라는 그의 제안_그의 제안에 따라 나는 월미도로 향하는 2번 버스를 탔다.

 



월미도를 떠올리면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가 생각난다. 서쪽 바다는 닫힌 듯 열려있는 공간이다. 바다이기보다는 거대한 호수같이 여겨지는 공간. 그렇지만 닫힌 공간이 아닌 태평양이라는 거대한 바다로 길이 열려있는 공간. 그런 고립된 듯하지만 언제나 탁 트인 자유를 갈망하는 스무살의 소녀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의 배경이 되었던 인천. 부둣가 거대한 공장건물을 배경으로 달리는 버스안의 태희, 혜주, 지영, 비류, 온조. 월미도를 생각하면 그녀들이 살며시 내게 먼저 손을 내민다.

 


 

그리고 내게 손을 내미는 또다른 그녀들. 가장 행복했던 순간_마음껏 웃을 수 있었던 순간의 그녀들의 모습이 곳곳에 보였다.

 

추억_때로는 씁쓸함으로 머물고, 때로는 그리움으로, 때로는 서걱거리는 일상 속에서 희미하게나마 웃게 만든다. 그녀들에게 안부를 물었다.

 

"시간의 흐름속에서 모두 잘 지내나요?"

"전 잘 지내고 있답니다."

 

시간이 흐를 수록 인천 앞 바다의 물빛은 처음엔 푸른빛을 내뿜다가 점점 그 색이 짙어졌다. 어둠이 내려앉은 바닷가 작은 파도가 여름밤 맥주거품처럼 일렁였고, 짭짤한 밤 공기를 안주삼아 소주 한잔으로 가슴을 따뜻하게 데우는 사람들이 그곳엔 있었다.

추억은 방울방울,

파도에 밀려 그녀들은 내게서 점점 멀어지고 있었다.

 

안녕.